최근 수시입출금 파킹통장 금리별 top10을 뽑아봤었다.
올해초 주목받았던 청년시리즈가
(희망적금, 도약계좌, 내일저축계좌 등)
지금은 어떻게 되었는지,
어떻게 가입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이야기해볼까한다.
아무리 금리가 오른다해도
국가에서 정부지원금을 주며 지원해주는 상품만한게 있을까?
금융상품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올라가고 있는 요즘
2022년 올해 2월에 공개되었던 청년희망적금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서글프다....이유는 아래에 있다)
매달 한도 50만원으로
만기 2년
은행이 주는 이자 연 5%
+ 정부지원금
+ 이자 소득세 비과세 혜택
연 10.49%의 엄청난 금리를 보여준다던 그 상품이다.
(설계 초기부터 3월초에 있던 선거를 의식해 탄생한 녀석으로 말이 많았다)
금융위원회의 예상가입자는 38만이었으나
290만명이 몰리며 어마어마한 인기를 끌었고
(그중 17만명은 3개월만에 해지한건 비밀)
청년희망적금 가입 대상 조건이
"작년" 총 급여 3600만원 이하인 만19세~34세
이 부분이 형평성 논란에 휩싸이며
재검토하고 7월에 돌아오겠단 말과 함께
가입을 멈췄다.
형평성?
현재가 아니고 작년을 기준으로 하다보니,
올해 취업한 청년들은 가입이 불가했다.
시간이 흘러 재출시 예정날이 다가왔을때...
추가 가입 종료....
그리고 대안을 제시한다.
청년도약계좌를 출시
만19세~34세
개인소득 6천만원 이하
중위소득 180% 이하
위 3가지 조건만 만족시키면 개설 가능
기준을 대폭 완화시켰다.
이 상품은 처음 설계될때
1억통장이라 불릴만큼
10년 납입 1억으로 돌려받는다 였는데
5년 납입 5천만원 받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기간으로 봤을때
기존 10년보단 5년이 돈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군복무기간까지 산정해줘서 최대 36세까지 가입가능)
초창기 희망적금이
비난받은 또다른 요소 중 하나가
2년이란 단기 상품이었는데
장기상품으로 수정되었다.
결론적으로
2년짜리 단기 상품은 없어졌으며
대신 5년짜리 도약계좌가 남았는데.
하지만 신청은 아직 열리지 않았다.
(23년 예산안 통과되고 나온다고한다)
......?
도약계좌 신청기간이러면서 글 많던데?
싶을것이다.
정말 수많은 블로그나 유튜버, 커뮤니티 등에서 얼마를 넣고
얼마를 받고 소득얼마는 얼마를 내며
얼마를 받을 것이며 말이 많은데.
다ㅏㅏㅏㅏㅏㅏㅏ
그냥 위에 올려놓은 저 예산안 하나보고 말하는것이다.
요즘같은 금리인상, 긴축시점에는
그나마 계획된 예산안마저
언제든지 없던 일이 될 수 있다...
너무 많은 사람들이...
열심히 찾는 것 같아서
지금은 둘다....없다는게 현실이라고
알려드리기 위해 포스팅했다...
씁쓸한 정보였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아빠가 알려주는 기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소유권 이전(증여) 등기신청서부터 수수료까지 (0) | 2022.10.27 |
---|---|
컴퓨터가 느려졌을때 최적화시키기(구라제거기,MZK 콤보) (2) | 2022.10.15 |
무실적 신용카드(혜택 무제한) Top 10 (0) | 2022.10.12 |
국비지원 코딩 컴퓨터학원 공짜로 다니기(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0) | 2022.10.11 |
아이폰 페이스아이디 비활성화 설정방법(마스크 오류) (0) | 2022.10.10 |